|
行祀節次
|
內 容
|
備 考
|
|
○. 진설(進設)
|
祭物을 祭床에 차려놈.
|
|
○. 지방설위(紙榜設位)
|
紙榜을 조의틀(靈座椅영좌의)에 모심.
|
|
降神禮
|
一. 분향(焚香)
|
主祭者가 香을 香爐에 피우고 再拜함.
|
再拜 祭主
|
二. 강신(降神)
|
主祭者가 祭酒를 盞에 부어 茅沙에 全部 三除하고 再拜함.
|
再拜 祭主
|
參神禮
|
三. 참신(參神)
|
參祀者 全員이 拜禮함.
|
再拜 一般祭官
(男子는 再拜 婦人은 四拜함)
|
初獻禮
|
四. 초헌(初獻)
|
主祭者가 行함. 祭床에서 盞을 내려 盞에 祭酒를 가득 부어 올린後 盞을 내려 茅沙에 조금씩 三除하고 盞을 다시 祭床에 올림.
|
三除 初獻官
|
五. 계반(啓飯)
|
밥,국 뚜껑을 열고 (啓飯羹盖)
|
執事者
|
六. 정저(正箸)
|
밥에 수저를 꼽고 젓가락을 가지런히 놓는다.
|
執事者
|
七. 독축( 讀祝)
|
祝文을 읽음.
|
全員俯伏 祝官讀祝 初獻官.祝官 再拜
|
亞獻禮
|
八. 아헌(亞獻)
|
主婦가 行함. 초헌동일
|
三除 亞獻官再拜
|
終獻禮
|
九. 종헌(終獻)
|
親近에서 行함. 아헌동일 退酒하지말고
|
三除 終獻官再拜
|
侑 食
|
十. 삽시(揷匙)
|
밥에 수저를 꼽고 젓가락을 가지런히 놓는다.
|
|
十一. 첨작(添酌)
|
올려있는 술盞에 初獻者 (執事者)가 添注한다
|
再拜 當事者
|
十二. 합문(闔門)
|
全員이 다들 門外로 나오고 門을 닫음.
|
全祭官辭席
|
十三. 계문(啓門)
|
主祭者가 門前에 가서 세번 기침하고 門을 열고 들어감.
|
全祭官參席
|
十四. 퇴갱(退羹)
|
국그릇을 내리고 (撤羹)
|
執事者
|
十五. 진다(進茶)
|
熟冷(물)올리고 (進熟水)
|
執事者
|
十六. 제반(除飯)
|
밥에 꽃인 수저로 밥을 조금씩 세번 숙냉그릇에 떠놓고
|
執事者 喪家 上食의 禮로 省略可
|
撤匙
|
十七. 낙시저(落匙箸)
|
수저를 거둠.
|
執事者
|
闔飯
|
十八. 복개반(覆盖飯)
|
밥그릇 두껑을 덮음
|
執事者
|
辭神禮
|
十九. 사신(辭神)
|
主祭者,參祀者 全員再拜 再拜
|
一般祭官
|
二十. 고이성(告利成)
|
行祀가 끝났음을 알린다.
|
祭主 執事者 墓祭는 告利成이 없음.
|
撤床
|
二十一. 분축(焚祝)
|
紙榜을 거두어 불살으고 祭物을 내리고 祭床을 치움.
|
執事者
|
墓祭에는 紙榜不用이며 侑食이 없으니 初獻에 揷匙讀祝함.
|